7월 증시 방향성
7월은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회의와 주요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유예 종료가 겹치며 변동성이 높아질 전망입니다. 상반기 급등 부담 속에서, 이벤트별 분할 대응과 섹터별 포지셔닝이 투자 성패를 가를 것입니다.
1. 주요 이벤트 정리 및 간략 설명
1주차 (7/1~7/4)
- 7/1~4: 한국 7월 1~10일 수출입 동향 YoY
- 7/3: 미국 비농업 고용 보고서 발표
- 7/4: 미국 독립기념일 단축 거래
2주차 (7/7~7/11)
- 7/7~8: 호주 RBA 통화정책회의
- 7/9: 미국 상호관세 90일 유예 종료
- 7/10: 한국 금융통화위원회·옵션만기일
3주차 (7/14~7/18)
- 7/15: 미국 CPI 발표
- 7/16: 미국 PPI·산업생산 발표
- 7/16: 연준 베이지북 공개베이지북: 연준 지역별 경기진단 보고서
4주차 (7/21~7/25)
- 7/22: 미국 주요 은행 실적 발표 (JP모간·웰스파고 등)
- 7/24: ECB 통화정책회의
- 7/27~31: 알츠하이머병협회 국제학회
5주차 (7/28~7/31)
- 7/29~30: 미국 FOMC 회의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 7/30~31: BOJ 금융정책회의
- 7/31: 미국 PCE 발표
2. 국내 기업 2분기 실적 전망 & 관세 유예 종료 코멘트
1주차 삼성전자·LG전자의 잠정실적 발표잠정실적은 반도체 업황 회복 여부를 가늠하는 첫 단서입니다. 2주차 마이크로소프트·넷플릭스 등 빅테크 실적 발표와 7/9 관세 유예 종료는 달러·글로벌 수요에 대한 시각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3. 7월 투자 전략 포인트
금리 민감주 vs 성장주
통화정책 회의 전후 은행·부동산 비중을 조정하며, AI·헬스케어 등 성장주를 분할 매수해 리스크를 관리하세요.
실적장세 vs 이벤트장세
CPI·FOMC 발표 전후 분할 대응으로 변동성 장세에 대비하고, 실적 서프라이즈 여부에 따라 섹터 로테이션을 고려하세요.
지정학 리스크 대응
BRICS 정상회의·EU-중국 정상회담 등 글로벌 정치 일정을 모니터링하며, 방산·에너지 관련 종목의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합니다.
4. 8월 미리보기
8월에는 RBA·BOE 회의, 한은 금통위, 미국 7월 고용지표와 2분기 GDP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7월 이벤트 대응 결과를 바탕으로 8월 전략을 조기 구상해 두세요.
구글 캘린더 공유
제가 증권사 증시캘린더를 취합해서 사용하고 있는 일정표를 구글 캘린더로 공유합니다.
마무리 정리
7월 캘린더를 활용해 주요 이벤트 전후 분할 대응, 섹터별 포지션 조정, 실적 서프라이즈 모니터링을 함께 진행하세요. 투자전략 카테고리에서 더 자세한 분석과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하나증권 7월 증시캘린더 - 키움증권 리서치
키움증권 7월 증시캘린더 - KB증권 리서치 본부
KB증권 7월 증시캘린더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은 본인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세 충격, 수출주·내수주 실전 비교 – 위험을 이기려면 어디에 베팅할까? (2) | 2025.07.22 |
---|---|
관세유예 종료 D-Day, 국내 투자자가 알아야 할 진짜 이야기 (3) | 2025.07.08 |
2025년 6월 증시 캘린더 총정리: 하반기 투자 전략의 시작점 (5) | 2025.06.13 |
[30대 직장인 자산 3억 만들기 완벽 가이드] 3. 실수 피하기와 5년 로드맵 (2) | 2025.05.21 |
[30대 직장인 자산 3억 만들기 완벽 가이드] 2. 단계별 투자 포트폴리오 (0) | 2025.05.20 |